전체보기1614 소프트웨어 기술자 등급제도 2009.01.18: 소프트웨어 기술자 등급제도 라는걸 시행한단다. 존경심이 생기는 분들의 글을 보자. -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기술자 등급제도 - SW기술자 신고제도? 특히나 공감가는 내용은 SW 개발자들의 의견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책상에서 만들어진 제도라는 것이다. 솔직히 기사 자격증 유무의 차이는 책한권 보고, 기출문제 3~4번 풀기위해, 1~2일 투자 했냐 안했냐의 차이 아닌가? 진정 개발자들을 위한 제도가 만들어 질꺼라고 기대하는 것도 힘빠지는 일이고, 기대하지 않는 것도 서글픈 일이다. 2009. 1. 18. 쌍용의 법정관리, 근무시간 2009.01.10: 간만에 일상 얘기다. [쌍용의 법정관리] 중국 상하이 자동차가 쌍용에 대해 법정관리 신청을 했단다. 뭔 이런 변이있나. (중국....) 2009.01.17: 이런 이런... 어제 집에 인터넷이 이상하더니만, 위에 써놨던 글을 조금 고치고 저장하기를 눌렀건만, 몇번 에러 나더니 글이 반쯤 지워져 버렸다. 순간 위에 사진처럼 나도 울고 싶었다~~ ㅠㅠ 2009. 1. 17. 사랑하지 않으면 떠나라 읽은 기간 : 2009.01.03 - 2009.01.04 2009.01.03: 드디어 오늘 친구 태윤이에게 빌려 읽기 시작했다. 원제는 "MY JOB WENT TO INDIA ; 52 Ways To Save Your Job" 물론 나는 개인적 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도 있다. 그렇지만 그 방법이 최고로 효율적이라든지, 무조건 옳다고 장담하진 못한다. 2009년을 시작하면시 이 책으로 다시한번 마음을 다잡으려 한다. 2009.01.05: 주말을 이용해 만 하루만에 보았다. 공감가는 내용도 있고, 공감안가... 는 내용은 없고 모두 맞는 말만 있다! 서구권 국가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 저임금 국가(인도 등..)의 개발자들에게 자리를 위협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진 않는다. 현재 우리나라 개.. 2009. 1. 6.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 읽은 기간 : 2008.11.01 - 2009.01.01 2008.11.25: 처음 산 목적은 gdb를 좀더 활용해보자는 의도였다. 단순히 core파일을 확인하는데 그쳐도 충분히 유용하지만, 강력한 툴이니 사용빈도를 높여도 좋을것 같아서이다. gdb 내용 이외에도 전반적인 책 내용이 나같은 초급자에겐 아주 좋은것 같다. 2009.01.01: gdb 입문으로는 역시 최고의 서적이 아닐까 싶다. 책 표지에도 적혀 있듯이 vi, make, gcc, gdb, cvs, rpm에 대해 너무도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고, 각 파트별로 보고싶은 프로그램만 보면 되므로 실무에도 빠르게 적용하기 알맞다는 생각이 든다. 2009. 1. 1. 이전 1 ··· 395 396 397 398 399 400 401 ··· 404 다음